테크(Tech) 제품

아이폰 vs 갤럭시/아이폰을 쓰는 이유/아이폰 장점.추천.리뷰.후기

HiAndrew 2024. 1. 7. 23:51

저는 여태까지 아이폰과 갤럭시를 번갈아 쓰던 시기도 있었다가 약 4년 전부터는 완전히 맥 생태계로 들어오면서 아이폰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아이폰15 프로맥스 모델을 사용하고 있으며 애플이 1위 기업의 자리를 유지하는 한 앞으로도 아이폰과 맥을 사용할 예정인 입장에서 글을 쓰기 때문에 아이폰 편을 많이 들 예정이라는 점 참고해주세요!

 


 

 

장점1. 디자인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디자인 만큼 구매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없다고 생각해요.

 

자동차에 비유하면 자동차가 엔진 출력이, 공기역학이, 제로백이... 어떻고 말을 해도 결국에 소비자들은 디자인과 브랜드를 보고 선택하는 것 같아요.

 

경쟁 제품들의 디자인이 많이 나아지고 있다고 해도 개인 취향으로는 애플 제품이 여전히 디자인을 선도하는 1위 자리를 굳건히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외관상 디자인적으로도 그렇고 내부 또한 깔끔하고 사용성 좋은 기본앱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화면에 쓸데없는 어플과 광고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장점2. 성능

 

 

기기의 연산성능을 수치화하여 한눈에 볼 수 있는 벤치마크 점수로 간단하고 명확하게 비교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벤치마크 점수만으로 성능을 판단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있을 수는 있지만, 기기의 핵심 성능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생각하여 공유합니다.

 

 

- 위: iOS 벤치마크 싱글코어 차트 vs 아래: Android 벤치마크 싱글코어 차트

 

 

 

- 위: iOS 벤치마크 멀티코어 차트 vs 아래: Android 벤치마크 멀티코어 차트

 

 

 

이미지 출처: https://browser.geekbench.com/

 

 

애플에서 설계한 SoC(System on Chip) 성능은 몇세대나 지난 모델의 칩이 최신형 경쟁사 제품들의 CPU 성능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으로 매우 뛰어납니다.

 

 

 

신작 아이폰에 탑재된 애플 실리콘 칩의 CPU, GPU 성능은 타 브랜드와의 비교보다는 전작, 그 이전작의 아이폰들과의 비교가 의미가 있는 수준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성능의 핵심 부분에서 경쟁사들을 큰 차이로 앞서고 있습니다.

 

 

장점3. 연동성

 

애플 제품을 하나 둘 사용하기 시작하면 헤어나올 수 없는 늪과 같은 생태계가 구성이 되는데 이렇게 느낄 수 있는 연동성과 편의성이 꽤 훌륭한 수준입니다.

 

연동성과 더불어 아이폰 사용에 따라오는 장점에 대해 지금 생각나는 몇가지를 적어볼게요.

◇ 맥 생태계에서 다룰 수 있는 파일 관리

◇ 아이클라우드로 편한 백업/파일 접근

◇ 맥북/아이패드/아이맥 등 기기와의 연동성

◇ 스마트워치의 대표 주자라 할 수 있는 애플워치의 사용

◇ 대체제를 찾기 힘들 정도의 편의성과 성능을 자랑하는 에어팟 사용
· 에어팟 한번 써보시면 아이폰 못 끊습니다! 에어팟을 애플 제품이 아닌 다른 기기와 써본 적도 있는데 간혹 연결 불안정함, 레이턴시 문제 등 불편한 점들이 있었어요. 오디오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에어팟의 음질을 고평가 안하실 수도 있지만, 편의성과 성능과의 균형 측면에서 보면 최고의 기기라고 생각해요.

 

아이폰뿐 아니라 패드, 맥북 등 맥 생태계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을 위해 제 사용기와 추천 글 링크를 남겨둘게요!

 

아이폰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패드와 맥북에서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과 패드와 맥북에서 작업한 결과물을 아이폰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은 큰 장점입니다.

 

https://hiandrew.tistory.com/95

 

[애플] 아이패드 프로 12.9/에어 사용기/용도.목적/장단점/뭐할 때 쓰지?/공부·작업·영상감상/굿

저는 아이패드를 2019년부터 써오고 있습니다. 2019년: 아이패드 7세대를 잠깐 사용해보고 환불 → 아이패드 에어 3세대 구입 2022년~현재: 아이패드 프로 12.9인치 5세대(M1) 사용중 저는 다른 애플 기

hiandrew.tistory.com

 

- 공부를 하시는 분이라면 굿노트에서 필기한 문서가 즉시 자동으로 백업되어 아이폰에서도 깔끔하게 볼 수 있다는 사실도 엄청난 장점일 거예요.

 

https://hiandrew.tistory.com/66

 

[애플] 맥북 입문 추천·비추천 대상/vs 윈도우/맥북 4년차 사용기/장단점/쓸만한가/가격 비교

맥북은 Apple의 노트북 브랜드입니다! 엄청 만족스럽습니다. 그런데 전 윈도우 운영체제를 맥보다 훨씬 더 오래 써온 사람으로써 맥북이 불편한 점도 있고 윈도우와 장단점이 확연히 갈리는 부분

hiandrew.tistory.com

 

 

장점4. 기업가치/이미지

 

 

대한민국 1위 기업과 세계 1위 기업의 격차는 생각보다 크다.

 

 

 

이미지 출처: https://top.hibuz.com/

 

- 우리나라 1위 자동차 기업 현대자동차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제네시스메르세데스-벤츠를 비교해보면 어떨까요? 제네시스는 가격대비 출력이나 편의 옵션과 더불어 여러 정량적인 수치는 외제차 포함 동급의 어떤 차량보다도 뛰어나며 디자인도 제 눈에는 아주 멋있어서 몇몇 모델은 개인적으로 드림카이기도 한데요. 그런데 프리미엄 독일차를 비교 대상으로 넣고 '더 좋은 차'를 가린다면 또 이야기가 달라지죠.

 

벤츠에는 제네시스에 있는 몇몇 편의 옵션이 없다고 하더라도 성능의 핵심 부분을 놓고 보자면 세계 1위급 브랜드와는 또 나란히 두기 어려운 부분이 있죠.

 

이처럼 국내 1위와 세계 1위의 격차라는 것은 확실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에서는 삼성에 호의적일수밖에 없는 언론들 포함 몇 가지 이유 덕에 마치 갤럭시가 아이폰과 필적하거나 오히려 능가한다는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다고도 생각해요. 언론들은 갤럭시는 무조건 칭송하고 아이폰은 항상 혁신이 없고(이젠 매년 나오는 클리셰가 되었죠) 각종 문제가 있다고 보도합니다. 아이폰15 출시 초기엔 발열 문제가 있다고 앞다퉈 보도하더니 애플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만으로 해결되었다는 점은 거의 다루지 않죠.

 

 

시선을 국내에서 전 세계로 넓혀본다면 어떤 분위기를 느낄 수 있을까요?

 

 

미국에서 핸드폰 통신사 매장에 가보면 반 이상이 아이폰으로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는 갤럭시와 기타 브랜드의 몇몇 모델들이 덕지덕지 붙은 프로모션 광고와 함께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forbes.com/sites/johnkoetsier/2023/08/29/top-10-selling-smartphones-all-from-2-companies-apple-and-samsung/?sh=1258b37057d1

https://www.mk.co.kr/news/it/10817909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3/08/29/HA44OFRTKJFRRJCB2JKFDEX7FA/

 

포브스의 기사를 가져와 봤는데요. 매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 통계를 보자면 의심할 여지 없이 가장 인기가 많은 모델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consumer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1806

 

일본에서는 일본 브랜드인 샤프와 소니 브랜드의 핸드폰을 꽤나 많이 쓰고 있는데 일부 시장에서 많이 팔리는 회사 제품이라도 해당 시장 밖에서 보면 핸드폰으로서는 생소한 브랜드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본다면 자랑스럽게도 삼성 갤럭시가 1위 수준으로 선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프리미엄 라인에서의 격차는 상당합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counterpointresearch.com/insights/global-premium-smartphone-market-continues-record-growth-2023/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64639

 


 

※ 단점으로 여겨졌던 것들

 

* AS 접근성

 

10년 이상 전에 아이폰을 수리하기 위해선 제 기억엔 집 근처가 아닌 옆옆동네 정도로 AS받으러 갔던 것 같은데요.

이제는 수도권 기준으로는 동네마다 여러개 있는 수준이라 더이상 AS 접근성에 있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될 정도가 되었다고 생각해요.

 

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 개인적인 예를 들면 저희 집에서 삼성 서비스센터까지는 도보12분, 애플 제품을 수리할 수 있는 공인 서비스센터는 도보4분 거리에 1군데, 도포 11분 거리에 1군데가 더 있을 정도로 서비스 접근성이 좋습니다.

 

물론, 삼성 서비스센터는 지방에도 고르게 있어서 어디서나 접근성이 좋은 편이고, 규모가 확실히 커서 사람이 몰리는 시간에도 빠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진짜 단점

 

★가격

 

 

 

애플 제품의 경우 여느 프리미엄 제품의 (일반 제품 대비) 단점과 같이 구매 가격이 비싸다는 점을 우선 꼽을 수 있겠습니다.

 

게다가 수리비 또한 아주 비싸게 책정 되기 때문에 애플케어플러스라는 보험 비슷한 서비스를 울며 겨자먹기로 가입하게 되는데 가입비도 아이폰 프로맥스 기준 329,000원으로 비싸다는 점이 단점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