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에 사서 탐욕에 팔아라
가치투자의 대가 워런 버핏의 아주 간결하면서도 논리적인 격언입니다.
그렇다면 미국 주식 시장에서 사람들이 공포를 느끼거나 탐욕을 부리는 시점이 언제일까?
이를 한눈에 참고할 수 있는 지표가 있습니다.
Fear and Greed Index
CNN 비즈니스 홈페이지에서 공개하는 공포와 탐욕 지수는 투자 심리를 측정하는 지표로, 숫자가 낮을수록 시장이 공포에 휩싸여 있으며, 숫자가 높을수록 시장이 탐욕적인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0~24: 극심한 공포 (Extreme Fear) → 시장이 과매도 상태, 반등 가능성
25~49: 공포 (Fear) → 투자 심리가 약세
50~74: 탐욕 (Greed) → 투자 심리가 강세
75~100: 극심한 탐욕 (Extreme Greed) → 시장이 과열 상태, 조정 가능성
어떤 지표에 의해 Fear & Greed Index가 결정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① Stock Price Momentum (S&P 500 이동평균 대비 위치)
S&P 500 지수가 125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으면 시장이 강세(탐욕),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으면 약세(공포)로 판단합니다.
② Stock Price Strength (52주 신고가/신저가 비율)
뉴욕 증시에서 52주 신고가를 경신한 종목 수와 신저가를 기록한 종목 수를 비교하여 시장의 강세 여부를 측정합니다.
신고가 종목이 많으면 탐욕, 신저가 종목이 많으면 공포를 의미합니다.
③ Stock Price Breadth (거래량 기반 상승/하락 강도)
상승 종목의 거래량이 하락 종목보다 많으면 탐욕,
반대로 하락 종목의 거래량이 많으면 공포로 해석됩니다.
④ Put and Call Options (옵션 시장의 투자 심리)
풋옵션(Put) 거래량 대비 콜옵션(Call) 거래량 비율을 분석하여 투자자들이 하락(공포) 또는 상승(탐욕)에 베팅하는지를 확인합니다.
풋옵션 거래량이 많으면 시장이 하락을 예상하는 것이므로 공포, 콜옵션이 많으면 탐욕으로 봅니다.
⑤ Junk Bond Demand (고위험 채권 수요)
투자자들이 고수익·고위험 정크본드에 투자하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정크본드의 수요가 많으면 시장이 낙관적(탐욕), 반대로 안전자산을 선호하면 공포를 의미합니다.
⑥ Market Volatility (VIX 변동성 지수, 공포 지수)
VIX 지수가 높으면 변동성이 커지고 시장의 공포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반대로 VIX 지수가 낮으면 시장이 안정적이고 탐욕이 강한 상태로 해석됩니다.
⑦ Safe Haven Demand (안전자산 대비 위험자산 선호도)
주식과 국채(미국 국채 10년물) 간의 수익률 비교
주식이 국채보다 강세이면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주식)을 선호하므로 탐욕,
국채가 강세이면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공포 상태로 봅니다.
모두가 공포를 느낄 때 매수할 수 있는 용기
현재 미국 주식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 칭하는 4월 2일 상호관세 정책 발표 전 조정장을 뒤로하고 발표 후에는 본격적인 하락장에 침체 우려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S&P, 나스닥, 다우존스가 모두 하락하고 세계 증시까지 전반적으로 큰 변동성에 노출되어 있는데요.


좌측: 2025년 4월 2일 기준 / 우측 2025년 4월 4일 기준
많은 투자자가 극심한 공포를 느끼고 있는 상황임을 알 수 있어요.
다시 한번 되뇌어보죠.
공포에 사서 탐욕에 팔아라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얼마나 공감하시나요?
물론,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인플레이션 상승, 기업 수익성 악화, 글로벌 무역 위축 등이 나타나며 침체가 올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죠. 그렇다면 바닥이라 생각했던 현재의 주식시장에 사실 지하가 존재했다..고 후에 깨달을 수도 있구요.
그러나, 저는 여전히 공포 시기를 이용하는 전략에 베팅하겠으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역사적으로 이정도의 '극단적 공포' 상황에서 매수했을 때 수개월 뒤 반등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습니다.
2. 현재의 주가 하락은 경제 펀더멘털이 심각하게 훼손된 경우와 다르며 이는 침체신호와는 구별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 충분히 분산된 종목에 장기투자 및 분할매수를 한다고 가정할 때 반드시 지금이 최저점일 필요는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우상향함을 가정하면 진입 시점이 크게 중요하지는 않으며, 특히나 공포 분위기 속 주가가 꽤나 빠진 지금은 추가 매수를 진행하기에 충분히 좋은 환경입니다.
만약 현시점이 이번 미국주식 전반의 사이클의 저점이라고 한다면, 1년 후 진입하는 투자자들은 지금 주식시장 차트가 저점을 찍은 상황을 돌아보며 "저 때 샀으면 누구나 돈 벌었겠네?"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 당시 투자자들은 극심한 공포를 느끼며 너도 나도 매도하는 추세였던 것이죠.
공포와 탐욕의 시기는 순환합니다.
하락장도 곧 끝나고 상승장이 지속되면 또 다시 탐욕이 가득한 시장 상황을 마주하겠죠.
그때가 되면 너도 나도 옆집 할머니 할아버지도 주식시장에 들어 왔다가 고점에 물리는 경험을 합니다.
반면, 현재 투자자는 개인이고 기관이고 매도포지션을 잡고 있습니다.
그렇게 쏟아져 나온 물량을 할인가로 구매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당분간은 변동성이 극심한 장세가 이어질 예정이니 지금이 바닥임을 가정하고 매수하기보다는, 장기투자 관점에서 현재를 좋은 기회로 삼아 현금비중을 유지하되 분할매수를 조금씩 하면서 대응하는 것이 어떨까 하는 제 의견입니다.
현시점과 반대로 투자자 심리가 회복되었을 때 오늘을 돌아보는 글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 투자 방법: 금현물거래/증권사 금현물 계좌개설/2025년 기준 증권사 금거래수수료 비교 (5) | 2025.04.02 |
---|---|
금값이 앞으로도 우상향할까/금투자를 추천하는 이유/금투자 주의사항 (5) | 2025.04.01 |
실물 골드바/순금/금목걸이/돌반지 구매처/판매처, 종로에서 제대로 거래하는 법, 업체 추천 (0) | 2025.03.24 |
금값 분석/국내 김치프리미엄.금치프리미엄 현재 없습니다 /국제금시세와 비교(25.3.21. 기준) (0) | 2025.03.21 |
순금/골드바/금반지 사는 방법, 금 구매처 추천, 금거래소 (0)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