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금값 분석/국내 김치프리미엄.금치프리미엄 현재 없습니다 /국제금시세와 비교(25.3.21. 기준)

HiAndrew 2025. 3. 21. 00:30
국내 금시세에 대한 여론을 볼 때 가끔 안타까운 순간이 있어요.

 

 

바로, 실제 금가격의 변동 소식을 언론을 통해서만 접하는 일반 사람들은 최소 1~2주 이상의 시차를 가지고 접근한다는 점이에요.
 
얼마 전, 국제금시세에 비해 국내금시세가 20% 가량 비쌌던 때, 언론에서 김치프리미엄에 대해 많이 다뤘었죠. 이 소재가 워낙 자극적이어서일까요? 이렇게 국내금시세가 최고점을 찍고 다시 15% 이상이 빠진지 2주가 지난 후까지도 여전히 같은 내용의 기사가 나오고, TV나 유튜브는 이러한 뉴스를 질리도록 재생산해왔습니다.
 

김치프리미엄이란?
유래는 암호화폐 가격이 해외에 비해 국내에서 더 비싸게 거래되는 현상을 지칭한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금에도 발생하여국제 금시세보다 국내 금시세가 더 높은 수준으로 거래되는 상황을 두고 '김치프리미엄이 꼈다'고 말합니다.

 
그러다가 최근 언론에서는 어떤가요? 김치프리미엄이 빠지며 국내 금값이 폭락했다는 소식이 많이 나왔습니다.
사실 그러한 기사가 처음 나오던 시점에선 프리미엄이 빠진지는 이미 꽤 되었고, 다시 국제 금값이 오르면서 국내 금값도 함께 상승하여 국제 가격과 국내 가격의 괴리율이 많이 적어진 시기였습니다.
 


 
이 글을 쓰는 2025년 3월 21일 현재는 어떨까요?

국제 금가격이 역대 최고가 수준으로 머물고 있는 중에 현재 여론은
 
"한국에선 김치프리미엄 때문에 금 사면 안된다"
"종로에 금이 없다더라"
"국제 금시세와의 괴리율이 낮아질 때까지 기다려야한다"
 
정도의 반응이 많습니다.
현재 흐름에는 한~두단계 뒤쳐지는 과거 자료에 근거한 판단이라 볼 수 있어요.
 

현재 국제금시세와 국내금시세 괴리율 분석(2025. 3. 21. 01:00 기준)

 
현재 시점의 국제/국내 금값과 환율로 괴리가격을 분석해볼게요.
단위는 가장 익숙한 1돈으로 환산하여 보겠습니다.(1돈 = 3.75g)
 

국제 금시세

1트로이온스 당 3047.7
= 1그램 당 97.9858 달러 (1OZS=31.1034768g)
= 1돈 당 367.4468달러 (1돈=3.75g)
= 1돈 당 539,412원 (1달러=1,468원)
 

국내 금시세

1그램 당 144,230원
= 1돈 당 540,863원
 
국제 금가격보다 국내 금가격이 1,451원 비싸네요.
이 정도의 차이는 사실상 현시점 가격의 괴리가 유의미하게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와 같은 계산으로 국내 가격이 대략 1만원 정도 높다고 하더라도 보통은 괴리율이 있다고 분석하지 않는 편입니다.

몇 천원대 수준까지 가격의 괴리가 줄어든지도 이미 1주일이 더 지났어요.
 
 

금시세 단기 전망

 

 

현재는 1트로이온스당 3,000달러를 처음으로 돌파하며 금값의 강세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일반적인 상황에서 국제 금값보다 국내 금값이 약간은 비싼 경향이 있기 때문에
국제 금값이 유지된다면 국내 금값은 상승 여지가 있다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앞서 소개드린 금값에 대한 국내 여론,
 
"한국에선 김치프리미엄 때문에 금 사면 안된다"
"종로에 금이 없다더라"
"국제 금시세와의 괴리율이 낮아질 때까지 기다려야한다"
 
모두 현재 상황과 맞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에도 실물 골드바를 종로에서 구매했는데요,
금 많습니다.
 
참고로, 실물 금을 어디서 어떻게 사야 손해를 보지 않을지 다룬 글도 참고해주세요.
https://hiandrew.tistory.com/112

 

순금/골드바/금반지 사는 방법, 금 구매처 추천, 금거래소

지난번엔 금 파는 방법을 다루어 보았는데 이번엔 금을 사는 법에 대해서 써보겠습니다. 업체를 고르는 법 등 기본적인 글의 흐름은 같을 예정이니 금 파는 방법에 대해서 다룬 이전 글에서도

hiandrew.tistory.com

 
 

금은 장기적으로 그 가치가 우상향하는 자산입니다.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과, 장기적으로 오를 것이 기대되는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가치에 관심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금투자가 점점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반면, 현재 국제 금값이 고공행진 중이라 언제 하락 국면에 접어들지에 대해 고민하는 것도 합리적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실시간 추세와 시차가 있는 언론을 통해서만 금 소식을 접하고 '지금은 한국에서 금을 사면 안된다'는 생각을 하는 건 맞지 않아요.
 
제가 국제 금시세와 국내 금시세의 괴리 가격을 산출하는 방법도 참고하셔서 적절한 금 매수/매도 타이밍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실물 금거래와 KRX 금현물 거래 등에 매우 익숙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금 관련 주제의 글을 다룰 생각이니 가끔 찾아와주세요.
 
감사합니다!